학교 공부/클라우드컴퓨팅

[클라우드컴퓨팅] 1-3. 클라우드 컴퓨팅 - 1

KimNang 2024. 11. 15. 23:56

1. 클라우드 컴퓨팅 개요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

- 컴퓨터 자원을 인터넷을 통해 필요할 때 사용하는 방식

- 예전에는 컴퓨터를 직접 설치하고 관리 -> 현재는 인터넷으로 쉽게 이용 가능

클라우드 컴퓨팅의 역사적 배경
  1. 1960년대
    - 전기나 수도처럼 필요할 때 컴퓨터 자원을 이용하는 개념 등장
    - 컴퓨터 자원 공유와 효율적인 활용이라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가치를 보여주는 초기 아이디어
  2. 1990년대
    - 가상화 기술이 발전하면서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에 중요한 기반을 마련
    - 가상화는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서 여러 가상 서버를 만들어 운영하는 기술
    - 컴퓨팅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어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반이 됨
  3. 2006년
    - 아마존의 AWS(Amazon Web Services) 출시와 함께 본격적으로 시작됨
    - AWS는 기업들에게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서비스, 클라우드 컴퓨팅 대중화를 이끎
    - 기업들은 자체 서버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부담을 줄이고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됨

 

2. 클라우드 컴퓨팅 기본 원리

가상화
  • 가상화의 정의
    - 하나의 물리적 서버를 여러 가상 서버로 나누어 사용하는 기술
    - 각 서버는 독립적으로 운영됨
    -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
  • 가상화의 장점
    - 독립적인 컴퓨터처럼 작동하여 서버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관리
    - 서버 간섭 없이 안정적으로 운영
  • 기업의 이점
    - 서버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 관리 비용 절감
    - 서버 확장성과 유연성을 높여, 비즈니스 성장에 기여
멀티테넌시
  • 멀티테넌시 정의
    - 여러 사용자가 같은 서버 자원을 공유하지만, 각 사용자의 데이터와 환경은 완전히 분리되어 관리되는 기술
    - 여러 회사가 같은 클라우드 플랫폼 써도, 각 회사의 데이터와 설정은 따로 보호됨
  • 데이터 보호
    - 각 사용자의 데이터와 환경을 격리하여 보안과 개인 정보 보호를 보장함
    - 여러 사용자가 서버 사용해도, 각 사용자는 자신만의 서버를 쓰는 것처럼 느낄 수 있음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가 서버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기술
자동화
  • 자동화 정의
    - 클라우드에서 자원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
    -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필요에 따라 자원을 늘리거나 줄임
  • 자동화 장점
    - 사용자 증가에 대비해 서버 성능을 유지, 사용자 적을 때는 자원을 줄여 비용 절약 가능

3. 클라우드 구성요소

컴퓨팅 자원
  • 컴퓨팅 자원의 정의
    -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CPU, 메모리(RAM) 등의 자원으로, 컴퓨터의 두뇌 역할을 하는 CPU는 명령을 실행하고 계산을 처리
    - 메모리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데이터를 임시로 지정하는 공간을 제공함
  • 클라우드에서의 활용
    - 이런 자원을 가상 서버로 제공
    - 사용자가 직접 컴퓨터를 구매하지 않아도 필요한 만큼의 컴퓨팅 파워를 쉽게 사용 가능
스토리지
  • 스토리지의 정의
    -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공간
    - 사용자가 파일, 데이터베이스, 사진, 영상 등을 저장하고 언제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스토리지 서비스를 제공함
  •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장점
    - 데이터를 물리적 장치가 아닌 안전한 서버에 보관하므로 장치의 고장이나 분실 걱정 없이 데이터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음
네트워킹 : 클라우드 서비스의 데이터 전달자
  • 사용자 요청
    - 사용자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데이터에 접근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
  • 네트워크 연결
    - 사용자의 요청은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달됨
  • 클라우드 서버 응답
    - 클라우드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다시 사용자에게 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