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공부/클라우드컴퓨팅
[클라우드컴퓨팅] 4-8. 클라우드 스토리지 EBS
KimNang
2025. 2. 17. 20:15
1. AWS EBS : 클라우드 서버의 하드디스크
EBS의 기본 개념
- 클라우드 하드디스크
- EBS는 EC2 인스턴스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가상 하드디스크 - 데이터 저장소
- 서버를 끄거나 문제가 생겨도 EBS속 데이터는 그대로 있음 - 유연한 크기 조절
- 필요에 따라 EBS 볼륨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음
EBS 크기 늘리기
- 준비 단계
- AWS 로그인
- AWS 콘솔에 로그인하여 EC2 대시보드로 이동 - 볼륨 선택
- EC2 대시보드의 왼쪽 메뉴에서 "Volumes(볼륨)"을 클릭하여 EBS 목록을 확인함 - 대상 EBS 선택
- 크기를 늘리고자 하는 EBS 볼륨을 목록에서 선택함
- AWS 로그인
- 실행 단계
- 작업 선택
- 선택한 EBS 볼륨에 대해 Actions(작업) 버튼을 클릭함 - 볼륨 수정
- "Modify Volume(볼륨 수정)" 옵션을 선택함 - 새 크기 입력
- 원하는 새로운 크기(ex: 20GB에서 40GB로)를 입력함 - 변경 적용
- 확인 버튼을 눌러 변경 사항을 적용함
- 작업 선택
- 서버 인식
- EC2 접속
- 변경된 EBS가 연결된 EC2 인스턴스에 접속함 - 명령어 실행
- 터미널에서 'sudo resize2fs /dev/xvdf' 명령어를 실행함 - 변경 완료
- 명령어 실행 후 서버가 새로운 EBS 크기를 인식하게 됨
- EC2 접속
EBS 크기 줄이기
- 새 볼륨 생성
- 볼륨 생성 메뉴
- EC2 대시보드의 Volumes 메뉴에서 "Create Volume" 옵션을 선택함 - 크기 설정
- 새로운 EBS 볼륨의 원하는 크기(ex: 10GB)를 입력함 - EC2 연결
- 생성된 새 EBS 볼륨을 대상 EC2 인스턴스에 연결함
- 볼륨 생성 메뉴
- 데이터 이전
- EC2 접속
- 데이터를 이전할 EC2 인스턴스에 접속함 - rsync 명령어
- 'rsync -a /mnt/oldvolume /mnt/newvo lume' 명령어를 실행하여 데이터를 복사 - 데이터 확인
- 새 볼륨으로 모든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복사 되었는지 확인함
- EC2 접속
- 볼륨 교체
- 기존 볼륨 분리
- EC2 대시보드에서 기존 EBS 볼륨을 Detach(분리)함 - 새 볼륨 연결
- 새로 작성한 작은 EBS 볼륨을 EC2 인스턴스에 Attach(연결)함 - 마운트 설정
- 새 볼륨을 EC2 인스턴스에 마운트하여 사용 가능한 상태로 만듦
- 기존 볼륨 분리
- 마무리
- 데이터 확인
- 새 볼륨에서 모든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접근 가능한지 확인함 - 기존 볼륨 삭제
- 데이터 이전이 완료되면 기존의 큰 EBS 볼륨을 삭제함 - 비용 절감
- 불필요한 스토리지 공간을 줄여 AWS 사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 데이터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