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dingTest
- Algorithm
- pytorch
- tensorflow
- Linux
- SingleProject
- C
- Android
- 오블완
- Univ._Study
- Artificial_Intelligence
- Unix_System
- Database_Design
- 2023_1st_Semester
- study
- Baekjoon
- Java
- Kubernetes
- Image_classification
- Operating_System
- programmers
- datastructure
- 자격증
- Python
- 티스토리챌린지
- cloud_computing
- 리눅스마스터2급
- c++
- Personal_Study
- app
목록Univ._Study (51)
코딩 기록 저장소
1. 데이터베이스 개요데이터베이스란?- 일상에서 사용하는 정보를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디지털 창고-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음- 고객의 개인 정보뿐만 아니라, 상품 목록, 주문 내역, 직원 정보 등 기업 운영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2. RDS 개요AWS RDS 소개- 아마존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복잡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직접 구축하고 관리할 필요 없이, 손쉽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음AWS RDS의 장점-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저장함- 안전한 보안 시스템으로 데이터를 보호함- 트래픽이 많아져도 빠르게 데이터를 처리함- 분산 처리와 샤딩 기술로 대규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함 샤딩 (Sharding)이란?-..
1. 클라우드 아키텍처 구성요소EC2 (Elastic Compute Cloud): 가상의 컴퓨터- EC2는 AWS에서 제공하는 가상 컴퓨터 서비스- 실제 컴퓨터 하드웨어 없이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를 빌려쓰는 개념- EC2의 가장 큰 장점은 필요에 따라 컴퓨터의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는 점- 갑작스러운 업무 증가에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해줌평상시- 일반적인 업무량에 맞춰 적절한 수의 EC2 인스턴스 사용피크 시간- 트래픽 증가 시 자동으로 EC2 인스턴스 추가이벤트 종료 후- 수요 감소 시 불필요한 EC2 인스턴스 종료 S3 (Simple Storage Service) : 클라우드 저장소-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 주요 역할은 파일을 안전하게 저장하고, 필요할 때 언제든지 꺼내 ..

1. 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 원칙AWS 아키텍처 설계 원칙- AWS 아키텍처를 설계할 때는 다음 세 가지 핵심 원칙을 반드시 고려해야 함 확장성 (Scalability)- AWS는 사용자가 갑자기 많아져도 성능이 떨어지지 않게 시스템을 확장할 수 있음 신뢰성 (Reliability)- AWS는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음 비용 효율성 (Cost Efficiency)- AWS는 자원을 미리 사두는 대신,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고 비용을 지불함 2. 확장성- 클라우드의 확장성은 비즈니스 요구사항에 따라 IT 리소스를 유연하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 핵심 특징확장성 : 비즈니스 성장에 대비하는 핵심 전략- 비즈니스 요구에 맞춰 컴퓨팅 리소스를 조정할 수 있는 핵심 기능- EC2..
1. AWS EBS : 클라우드 서버의 하드디스크EBS의 기본 개념클라우드 하드디스크- EBS는 EC2 인스턴스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가상 하드디스크데이터 저장소- 서버를 끄거나 문제가 생겨도 EBS속 데이터는 그대로 있음유연한 크기 조절- 필요에 따라 EBS 볼륨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음EBS 크기 늘리기준비 단계AWS 로그인- AWS 콘솔에 로그인하여 EC2 대시보드로 이동볼륨 선택- EC2 대시보드의 왼쪽 메뉴에서 "Volumes(볼륨)"을 클릭하여 EBS 목록을 확인함대상 EBS 선택- 크기를 늘리고자 하는 EBS 볼륨을 목록에서 선택함실행 단계작업 선택- 선택한 EBS 볼륨에 대해 Actions(작업) 버튼을 클릭함볼륨 수정- "Modify Volume(볼륨 수정)" 옵션을 선택함새 크기 ..

1. S3 개요AWS S3의 정의- 클라우드 상의 대형 데이터 저장소- 파일, 사진, 동영상 등을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음- 인터넷만 있으면 어디서든 데이터에 접근 가능함S3의 구성 요소버킷- 데이터를 저장하는 최상위 컨테이너-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정리하는 단위로 사용객체- 버킷 내에 저장되는 실제 파일- 파일 데이터와 메타데이터로 이루어져 있음S3의 저장 방식- 다중 지역 복제 : 데이터를 여러 지역에 복사하여 저장함- 안정성 향상 : 한 지역에 문제가 생겨도 다른 지역의 데이터로 복구 가능함- 글로벌 접근성 : 전 세계 어디서나 빠르게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음2. S3 파일 업로드S3 파일 업로드- AWS S3에 파일을 업로드하고, 해당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 링크를 생성함- S3 콘솔 또는 ..
1. 클라우드 스토리지클라우드 스토리지란?-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인터넷 상의 가상 저장소- 실제 USB나 외장하드처럼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필요할 때 언제든 접근할 수 있음 클라우드 스토리지 장점접근성언제 어디서나 데이터에 접근 가능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 다양한 기기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열어볼 수 있어 편리함확장성저장 공간이 부족해질 때마다 새로운 하드웨어를 구매할 필요가 없음클릭 몇 번으로 저장 공간을 늘릴 수 있어 비용 효율적데이터 보안클라우드 제공업체는 최신 보안 기술을 적용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함자동 백업 기능으로 데이터 손실 위험 크게 줄일 수 있음2. 클라우드 스토리지 비교Amazon S3무한한 저장 공간과 편리한 데이터 관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