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블완
- codingTest
- Artificial_Intelligence
- Python
- SingleProject
- C
- Personal_Study
- programmers
- Linux
- 티스토리챌린지
- Database_Design
- datastructure
- cloud_computing
- Unix_System
- 리눅스마스터2급
- Android
- app
- Image_classification
- 2023_1st_Semester
- tensorflow
- Univ._Study
- 자격증
- Algorithm
- Kubernetes
- Operating_System
- study
- Baekjoon
- c++
- kubeflow
- Java
목록Kubernetes (8)
코딩 기록 저장소

목차 1. context01. 쿠버네티스 context- 쿠버네티스 계정을 발급하고 권한을 제한하는 방법이 serviceaccount와 role- pod 생성 등의 쿠버네티스 요청은 쿠버네티스 API 서버가 처리하고, API 서버는 사용자 요청을 처리하기 전 올바를 사용자가 맞는지 검사하고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함- API 서버의 인증, 인가를 확인하는 기준이 쿠버네티스 context 정보!- context 정보에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정보와 사용자 정보가 존재함- 사용자가 요청할 때 별도로 인증, 인가 정보를 명시하지 않으면 context 정보가 자동으로 요청정보와 같이 전송됨※ context는 사용자 홈 디렉터리 /.kube/config에 위치함 02. context 구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정보와..

목차 Master노드 버전 정리- kubernetes : v1.28.15- kustomize : v5.6.0- kubeflow : v1.8.01. Kubeflow 설치 및 접속01. Kubeflow 설치하기kustomize를 설치함curl -s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sigs/kustomize/master/hack/install_kustomize.sh" | bashinstall kustomize /usr/bin/kustomize manifest git을 clone 함git clone https://github.com/kubeflow/manifests.gitcd manifestsgit checkout v1.8.0 http로 접속할 수 있도..

※ 컴퓨터의 메모리 부족으로 인해 서버컴퓨터에서 학습을 진행하게 됨 목차 1. 젠킨스 설치 및 구성01. 젠킨스 설치하기리눅스 패키지를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함-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하면 설치할 패키지(소프트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가져올 수 있음sudo apt updateJDK를 설치함- openjdk 17버전으로 설치함sudo apt install -y openjdk-17-jre-headless- 설치가 잘 된것을 확인할 수 있음java -version젠킨스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패키지에 접근하기 위해 GPG 키를 추가함wget -q -O - https://pkg.jenkins.io/debian/jenkins.io-2023.key |sudo gpg --dearmor -o /usr/share/keyrin..

※ 컴퓨터의 메모리 부족으로 인해 서버컴퓨터에서 학습을 진행하게 됨 목차 1. Ubuntu 환경에 VMware 설치서버컴퓨터 환경- 우분투 : 24.04.2 LTS- 커널 : 6.11.0-21-generic 01. VMware 파일 설치broadcom 사이트에 접속한 후 오른쪽 위 'Support Portal - Go To Portal'을 통해 로그인을 함https://www.broadcom.com/ Software - VMware Cloud Foundation - My Downloads를 통해 이동함다운로드 하는 링크로 이동하여 환경에 맞는 버전을 설치함이 파일을 서버컴퓨터의 디렉터리에 이동한 후 다음 코드를 통해 설치를 진행함- 관리자 권한으로 쉘을 이용해 VMware 설치 파일을 실행함 sudo s..

목차 1. 쿠버네티스의 CI/CD01. CI/CD란?- CI/CD가 등장하기 전, 개발할 때는 개발자들이 소스 코드가 저장된 저장소에 접근해서 커밋을 통해 사용 권한을 얻고, 이후 수정한 내용을 빌드하고 테스트하는 과정을 거침- 개발 중에는 별도의 품질 관리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테스트 과정 중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음- 그래서 CI/CD가 등장하게 됨 CI/CD 개념 CI- Continuous Integration의 약자로 지속적 통합을 의미함- 오류 수정 혹은 새로운 기능을 테스트하고 깃허브 같은 저장소에 배포하는 과정을 의미함- Travis CI, Bamboo, 젠킨스(Jenkins) 등 같은 도구를 사용하는데, 그중 젠킨스를 가장 많이 사용함CI의 핵심빠른 개발과 배포- 애플리케이션을 ..

목차1. 스테이트풀을 위한 영구 볼륨- 볼륨(Volume) : 데이터를 보관하는 저장소- 스테이트풀(stateful) : 데이터를 저장소에 저장해 두는 애플리케이션- 스테이스리스(stateless) : 어떠한 정보도 저장해 둘 필요가 없는 애플리케이션- 저장소를 사용하지 않는 스테이트리스는 단순히 디플로이먼트를 배포하면되기 때문에 구성 간단함- 스테이트풀은 저장소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구현 복잡함 01. 볼륨볼륨이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 파드(컨테이너)가 종료되어도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음- 저장소에 볼륨을 생성한 후 파드(컨테이너)에 마운트하여 사용- 볼륨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위치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음데이터가 저장되는 위치파드 내에 위치- 파드가 종료될 때 데이터도 함께 삭제됨워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