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ngleProject
- Database_Design
- 리눅스마스터2급
- Univ._Study
- study
- app
- programmers
- Linux
- codingTest
- Java
- Personal_Study
- Unix_System
- Image_classification
- Android
- cloud_computing
- 티스토리챌린지
- Artificial_Intelligence
- tensorflow
- Operating_System
- datastructure
- 오블완
- 2023_1st_Semester
- Algorithm
- pytorch
- Baekjoon
- C
- Kubernetes
- c++
- Python
- 자격증
코딩 기록 저장소
[23-01/유닉스 시스템] 디렉토리 다루기 본문
1. 유닉스 파일 시스템
■ 파일
- 관련 있는 정보들의 집합
- 유닉스는 시스템의 모든 정보와 장치를 파일로 관리
■ 파일 시스템
- 시스템 내의 파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계층적으로 구성한 유닉스 시스템의 파일과 디렉토리의 집합
파일의 종류
- 일반 파일, 디렉토리 파일, 심볼릭 링크 파일, 장치 파일
■ 일반 파일
- 데이터의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파일
● 텍스트 파일
- 파일의 내용이 아스키(ASCII)코드로 구성된 파일
- 텍스트 편집기나 cat, more 명령을 이용해 그 내용을 볼 수 있음
● 바이너리 파일
- 내용이 아스키 코드가 아닌 모든 파일
- 지정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야 내용을 볼 수 있음
■ 디렉토리 파일
- 내용이 다른 파일이나 하위 디렉토리의 이름인 특수 파일
- setuid setgid stickybit
■ 심볼릭 링크 파일
- 원본 파일을 가리키는 특수 파일텍스트 파일
■ 장치 파일
-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특수 파일
-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블록이 없음
- 파일 크기 대신 장치를 구분하기 위한 두 개의 숫자 저장
디렉토리 계층 구조
■ 디렉토리 계층 구조 ★
- 홈 디렉토리 : ~
- 현재 디렉토리 : .
- 상위 디렉토리 : ..
- 하위 디렉토리 : 이름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
■ 경로
- 파일 시스템에서 특정 파일의 위치
● 절대 경로
- 루트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함
- 루트 디렉토리부터 특정 파일까지 가는데 거치는 모든 디렉토리의 이름 표시
- 항상 / 로 시작
● 상대 경로
- 시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함
- 하위로 내려갈 때는 디렉토리의 이름을, 상위로 올라갈 때는 .. 추가
- 슬래시 이외의 문자로 시작
- 같은 파일의 상대 경로라도 현재 위치에 따라 달라짐
파일과 디렉토리 명명 규칙
■ 유의사항
● 사용 가능
- 알파벳(대소문자 구분), 숫자, 하이픈(-), 밑줄(_), 점(.)
● 사용자제
- 공백( ), *, &,|, ", ', ~, #, $, (, ), \, ;, <, >
- 쓰는 경우 이름을 따옴표로 감싸거나 모든 특수문자 앞에 \를 추가
● 사용불가 : /
■ ex)
● 좋은 이름
- C, helloWorld.c, unix, .secrete, sample12
● 나쁜 이름
- *hl, I'am, #77dir, my dir, book\
● 쓸 수 없는 이름
- Mydir/, /test, wrong/name
2. 현재 디렉토리 확인 : pwd
pwd
-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 출력
■ 사용법
3. 디렉토리 이동 : cd
cd [ 디렉토리명 ]
-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지정한 디렉토리로 이동
- 디렉토리명을 지정하지 않으면 홈 디렉토리로 이동
- $ ~username /~uswername
■ 사용법
4. 디렉토리의 파일 목록 확인 : ls
ls [ 옵션 ] [ 파일 또는 디렉토리명 ]
-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정보 출력
■ 옵션
옵션 | 기능 |
a | All. 시스템에 숨겨진 파일을 포함한 모든 파일 목록 출력 |
l | Long. 파일의 상세 정보 출력 |
d | Directory. 지정한 디렉토리 자체의 정보 출력 |
R | Recursive. 하위 디렉토리내의 모든 디렉토리들을 반복 출력 |
F | 파일 종류 표시 (실행 파일: *, 디렉토리: /, 심볼릭링크 : @) |
u | 파일, 디렉토리 이름을 최종 접근 시간 순으로 화면에 출력 |
■ 사용법
5. 디렉토리 생성 : mkdir
mkdir [ 옵션 ] [ 디렉토리명 ]
- 새로운 디렉토리 생성
■ 옵션
- -p : 디렉토리 생성에 필요한 하위 디렉토리도 함께 생성
- 알파벳(대소문자 구문), 숫자, 하이픈(-), 밑줄(_), 점(.)
■ 사용법
6. 디렉토리 삭제 : rmdir
rmdir [ 옵션 ] [ 디렉토리명 ]
- 저장한 디렉토리 삭제
- 디렉토리가 비어있어야 삭제 가능
■ 옵션
- -p : 지정한 디렉토리 삭제 후 부모 디렉토리가 비어있으면 삭제
■ 사용법
'학교 공부 > 유닉스 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1/유닉스 시스템] 파일 접근 권한 관리하기 (1) | 2023.04.27 |
---|---|
[23-01/유닉스 시스템] 배시 셸 활용하기 (2) | 2023.04.27 |
[23-01/유닉스 시스템] vi 사용법 (0) | 2023.04.25 |
[23-01/유닉스 시스템] 파일 다루기 (0) | 2023.04.22 |
[23-01/유닉스 시스템] 유닉스 개요 및 기본 사용법 (0) | 2023.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