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기록 저장소

[프로그래머스/C++] 실패율 본문

프로그래머스/Lv.1

[프로그래머스/C++] 실패율

KimNang 2023. 1. 8. 13:21

문제 정보

제목 : 실패율

난이도 : Lv.1

사용 언어 : C++

문제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9

 

문제 설명

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

  •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제한 사항

  • 스테이지의 개수 N은 1 이상 500 이하의 자연수이다.
  • stages의 길이는 1 이상 200,000 이하이다.
  • stages에는 1 이상 N + 1 이하의 자연수가 담겨있다.
    • 각 자연수는 사용자가 현재 도전 중인 스테이지의 번호를 나타낸다.
    • 단, N + 1 은 마지막 스테이지(N 번째 스테이지) 까지 클리어 한 사용자를 나타낸다.
  • 만약 실패율이 같은 스테이지가 있다면 작은 번호의 스테이지가 먼저 오도록 하면 된다.
  • 스테이지에 도달한 유저가 없는 경우 해당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 으로 정의한다.

입출력 예

N stages result
5 [2, 1, 2, 6, 2, 4, 3, 3] [3,4,2,1,5]
4 [4,4,4,4,4] [4,1,2,3]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1번 스테이지에는 총 8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 이 중 1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 따라서 1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 1 번 스테이지 실패율 : 1/8

2번 스테이지에는 총 7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 이 중 3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 따라서 2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 2 번 스테이지 실패율 : 3/7

마찬가지로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 3 번 스테이지 실패율 : 2/4
  • 4번 스테이지 실패율 : 1/2
  • 5번 스테이지 실패율 : 0/1

각 스테이지의 번호를 실패율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 다음과 같다.

  • [3,4,2,1,5]

입출력 예 #2

모든 사용자가 마지막 스테이지에 있으므로 4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1이며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이다.

  • [4,1,2,3]

나의 풀이

1부터 N까지 반복하는 for문을 만듭니다. 이는 각 스테이지에 해당됩니다. 0부터 stages.size()까지 반복하는 중첩 반복문을 만듭니다. 이는 사용자 별로 도전중인 스테이지 번호에 하나씩 접근하게 됩니다.

반복하는 동안 i(스테이지) 와 stages[j](사용자의 도전중인 스테이지)를 비교하여 같다면 player변수(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사용자)와 total_player변수(스테이지에 도달한 사용자)에 +1하고, stages[j]변수가 크다면 total_player변수에 +1을 합니다.

스테이지에 도달한 유저가 없는 경우라면(total_player == 0), 실패율 벡터에 pair클래스를 이용하여 0과 스테이지 이름(i)를 추가합니다. 그외에는 play/total_player와 스테이지 이름을 추가합니다.

이후 실패율 벡터(failure_late)를 정렬하는데 직접 정의한 compare함수를 sort의 인자로 추가합니다. answer 배열에 정렬한 실패율 벡터의 스테이지를 순서대로 추가하여 리턴합니다.

 

+ 이번 문제를 통해 pair 클래스도 사용해보고 compare 비교함수를 직접 정의하여 정렬해보는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더 공부하여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할것같습니다.

 

코드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bool compare(pair<double, int> a, pair<double, int> b){
    if (a.first == b.first)
        return a.second < b.second;
    else
        return a.first > b.first;
}

vector<int> solution(int N, vector<int> stages) {
    vector<int> answer;
    vector<pair<double,int>> failure_late;
    double player=0,total_player=0;
    
    for(int i = 1; i <= N; i ++)
    {
        for(int j = 0; j < stages.size(); j++)
        {
            if ( i == stages[j])
            {
                player++;
                total_player++;
            }
            else if (i < stages[j])
                total_player++;
        }
        
        if ( total_player == 0)
            failure_late.push_back(pair<double,int>(0,i)) ;
        else
            failure_late.push_back(pair<double,int>(player/total_player,i)) ;
        player=0;
        total_player=0;
        
    }
    sort(failure_late.begin(),failure_late.end(),compare);
    
    for( auto & i: failure_late)
        answer.push_back(i.second);
    
    return answ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