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Tags
- C
- programmers
- app
- Database_Design
- Algorithm
- Linux
- cloud_computing
- pytorch
- SingleProject
- 리눅스마스터2급
- Android
- Kubernetes
- 자격증
- Python
- Unix_System
- study
- datastructure
- Java
- Artificial_Intelligence
- 오블완
- c++
- 티스토리챌린지
- Operating_System
- tensorflow
- Image_classification
- Univ._Study
- Baekjoon
- codingTest
- 2023_1st_Semester
- Personal_Study
코딩 기록 저장소
[클라우드컴퓨팅] 2-5. 리눅스 기본 명령 본문
1. 우분투 리눅스 기본 명령어 실습
date
- 우분투에서 현재 날짜와 시간을 확인하는 명령어
- 컴퓨터 화면에 현재 날짜와 시간을 바로 보여줌
- Tue : 요일을 표시하는 부분
- Nov 12 : 11월 12일을 의미
- 22:17:25: 현재 시간, 24시간 표기법 사용
- UTC : 시간 기분이 되는 세계 표준 시간대, UTC는 전 세계에서 동일하게 사용하는 시간대, 한국 시간과는 차이 있음
- 2024 : 현재 연도
timedatectl
- 시계 및 시간 설정을 제어하는 유틸리티
- 시스템 시간을 변경하거나, 시간 설정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 컴퓨터 화면에 현재 날짜와 시간을 바로 보여줌
- Local time : 컴퓨터에서 표시하는 현재 시간, UTC는 세계 표준 시간
- Universal time : 전 세계에서 공통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시간인 UTC, 이 컴퓨터에서는 지역 시간과 같음
- RTC time : 컴퓨터 내부 시계의 시간
- Time zone : 컴퓨터가 사용하는 시간대
- System clock synchronized : 컴퓨터가 인터넷을 통해 시간을 자동으로 맞추고 있다는 뜻
- NTP service : 인터넷을 통해 시간을 자동으로 맞추는 NTP 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음
- RTC in local TZ : 컴퓨터 내부 시계가 UTC 기준으로 시간을 맞추고 있음
- no : 실시간 시계(RTC)가 특정 지역의 시간에 맞춰져 있지 않음
- yes : 실시간 시계(RTC)가 특정 지역의 시간에 맞춰져 있음
whoami
-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2. 리눅스 파일과 디렉토리
디렉토리 구조의 차이 : 윈도우 VS. 리눅스
- 윈도우는 드라이브 기반으로 파일을 관리하고, 리눅스는 루트(/)를 기반으로 함
- 윈도우
- 드라이브(C드라이브, D드라이브 등)를 기반으로 파일을 구성
- C 드라이브는 시스템의 기본 위치
- 모든 파일과 폴더는 이 드라이브 아래에 계층적으로 정리됨- C:\Windows : 윈도우 시스템 파일 저장
- C:\Program Files : 설치된 프로그램 저장
- C:\ Users : 사용자 개인 파일 저장
- 리눅스
- 리눅스는 루트(/)라는 하나의 기본 위치에서 시작함
- 루트는 리눅스 시스템의 최상위 디렉토리
- 그 아래에 다양한 목적의 폴더가 있음- /home : 사용자 개인 파일 저장 (윈도우의 C:\Users와 유사)
- /bin :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 저장
- /etc : 시스템 설정 파일 저장
- /usr : 추가 프로그램 및 파일 저장 (윈도우의 C:\Program Files와 유사)
리눅스 홈 디렉토리와 경로명
- 홈 디렉토리 (Home Directory)
- 사용자가 개인 파일을 저장하는 공간
- 사용자가 만든 문서, 사진, 설정 파일 등이 홈 디렉토리에 저장됨
- 개인 파일을 안전하게 관리 가능
- 각 사용자는 각자의 홈 디렉토리를 갖게 됨 - 현재 디렉토리 (Current Directory)
- 현재 디렉토리는 컴퓨터에서 현재 작업하고 있는 위치 - 부모 디렉토리 (Parent Directory)
-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바로 위에 있는 상위 폴더
- 폴더 안에 또 다른 폴더가 있을 때, 그 위의 폴더가 부모 디렉토리
pwd
-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위치를 표시함
cd (Change directory)
- 폴더(디렉토리)를 이동하는 명령어
- 컴퓨터 내부의 다양한 폴더로 쉽게 이동 가능
- 변경하고자 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할 때 사용됨
- cd /home/ubuntu
- /home/ubuntu 라는 폴더로 이동함 - cd ..
- 현재 폴더의 상위 폴더로 이동 - cd /
- 최상위 폴더(루트 디렉토리)로 이동 - cd /opt
- /opt라는 폴더로 이동 - cd ~
- 홈 디렉토리(개인 작업 공간)로 이동
mkdir
- 새로운 폴더(디렉토리)를 생성
- -p 옵션을 사용하면 여러 폴더를 한 번에 만들 수 있음
ls (list)
- 현재 위치한 폴더(디렉토리)의 파일과 하위 폴더 목룍을 확인하는 명령어
- 주요 옵션
- ls -l : 파일과 폴더를 상세 정보와 함께 목록으로 표시, 파일 크기, 수정 날짜, 권한 등의 추가 정보 확인 가능
- ls -R : 현재 폴더뿐만 아니라 하위 폴더의 내용까지 모두 표시
- ls -s : 각 파일과 폴더의 크기를 함께 표시함. 파일이 차지하는 용량을 확인할 수 있어, 공간 관리에 유용함
- ls -F : 각 항목의 유형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파일/폴더 이름 뒤에 특수 문자를 추가함
- ls -a : 숨겨진 파일과 폴더까지 포함하여 전체 목록을 보여줌. 숨겨진 파일은 이름 앞에 점(.)이 붙어 있음
rmdir
- 폴더(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
- 필요없는 폴더 삭제해 시스템을 정리함
- 주요 옵션
- rmdir -p : 하위 폴더뿐만 아니라 상위 폴더까지 삭제
cp
- 파일이나 폴더(디렉토리)를 복사하는 기능 제공
- 원본 파일이나 폴더 유지하면서 동일한 내용을 가진 복사본을 다른 위치에 만들 수 있음
- cp original.txt copy.txt
- original.txt 파일을 copy.txt라는 이름으로 동일한 위치에 복사 - cp original.txt /path/to/destination/
- original.txt 파일을 지정된 폴더로 복사
mv
-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파일을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시킴
- 파일 이동
mv document.txt /path/to/destination/
- 원래 위치에 파일이 남아있지 않고, 새 위치로 옮겨짐 - 파일 이름 변경
mv oldname.txt newname.txt
- 위치는 그대로 두고 파일 이름만 새 이름으로 바뀜
3. AWS EC2 삭제
AWS EC2 삭제
- 인스턴스를 중지시키더라도 요금이 부가될 수 있음
- 필요없는 EC2 인스턴스는 반드시 삭제해야 함
- 삭제 전 데이터 백업과 필요한 파일은 다른 곳으로 이전
- AWS 관리 콘솔에서 몇 번의 클릭만으로 쉽게 가능
- 메뉴 클릭해서 '컴퓨팅' - 'EC2' 클릭
- 좌측의 '인스턴스' 클릭
- 인스턴스 선택
- '인스턴스 상태' - '인스턴스 종료' 클릭 후 '종료(삭제)' 클릭
'학교 공부 > 클라우드컴퓨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컴퓨팅] 3-2. 가상화 네트워크 (0) | 2024.11.25 |
---|---|
[클라우드컴퓨팅] 3-1. 가상화와 도커 (0) | 2024.11.24 |
[클라우드컴퓨팅] 2-4. AWS와 우분투 리눅스 (0) | 2024.11.21 |
[클라우드컴퓨팅] 2-3. AWS EC2 (0) | 2024.11.20 |
[클라우드컴퓨팅] 2-2. AWS MFA (0) | 202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