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Tags
- Python
- Kubernetes
- study
- Baekjoon
- programmers
- C
- Personal_Study
- Artificial_Intelligence
- 자격증
- 2023_1st_Semester
- cloud_computing
- datastructure
- Android
- codingTest
- 티스토리챌린지
- Database_Design
- 오블완
- SingleProject
- 리눅스마스터2급
- app
- c++
- Linux
- tensorflow
- pytorch
- Image_classification
- Java
- Univ._Study
- Algorithm
- Unix_System
- Operating_System
코딩 기록 저장소
[프로그래머스/Python] 주차 요금 계산 본문
문제 정보
제목 : 주차 요금 계산
난이도 : Lv.2
사용 언어 : Python
문제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92341
문제 설명
주차장의 요금표와 차량이 들어오고(입차) 나간(출차) 기록이 주어졌을 때, 차량별로 주차 요금을 계산하려고 합니다. 아래는 하나의 예시를 나타냅니다.
- 요금표
기본 시간(분) | 기본 요금(원) | 단위 시간(분) | 단위 요금(원) |
180 | 5000 | 10 | 600 |
-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 | 차량 번호 | 내역 |
05:34 | 5961 | 입차 |
06:00 | 0000 | 입차 |
06:34 | 0000 | 출차 |
07:59 | 5961 | 출차 |
07:59 | 0148 | 입차 |
18:59 | 0000 | 입차 |
19:09 | 0148 | 출차 |
22:59 | 5961 | 입차 |
23:00 | 5961 | 출차 |
-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 | 누적 주차 시간(분) | 주차 요금(원) |
0000 | 34 + 300 = 334 | 5000 + ⌈(334 - 180) / 10⌉ x 600 = 14600 |
0148 | 670 | 5000 +⌈(670 - 180) / 10⌉x 600 = 34400 |
5961 | 145 + 1 = 146 | 5000 |
- 어떤 차량이 입차된 후에 출차된 내역이 없다면,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0000번 차량은 18:59에 입차된 이후, 출차된 내역이 없습니다. 따라서,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00:00부터 23:59까지의 입/출차 내역을 바탕으로 차량별 누적 주차 시간을 계산하여 요금을 일괄로 정산합니다.
-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이하라면, 기본 요금을 청구합니다.
-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을 초과하면, 기본 요금에 더해서, 초과한 시간에 대해서 단위 시간 마다 단위 요금을 청구합니다.
- 초과한 시간이 단위 시간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올림합니다.
- ⌈a⌉ : a보다 작지 않은 최소의 정수를 의미합니다. 즉, 올림을 의미합니다.
주차 요금을 나타내는 정수 배열 fees, 자동차의 입/출차 내역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recor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차량 번호가 작은 자동차부터 청구할 주차 요금을 차례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 fees의 길이 = 4
- fees[0] = 기본 시간(분)
- 1 ≤ fees[0] ≤ 1,439
- fees[1] = 기본 요금(원)
- 0 ≤ fees[1] ≤ 100,000
- fees[2] = 단위 시간(분)
- 1 ≤ fees[2] ≤ 1,439
- fees[3] = 단위 요금(원)
- 1 ≤ fees[3] ≤ 10,000
- 1 ≤ records의 길이 ≤ 1,000
- records의 각 원소는 "시각 차량번호 내역" 형식의 문자열입니다.
- 시각, 차량번호, 내역은 하나의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시각은 차량이 입차되거나 출차된 시각을 나타내며, HH:MM 형식의 길이 5인 문자열입니다.
- HH:MM은 00:00부터 23:59까지 주어집니다.
- 잘못된 시각("25:22", "09:65" 등)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차량번호는 자동차를 구분하기 위한, `0'~'9'로 구성된 길이 4인 문자열입니다.
- 내역은 길이 2 또는 3인 문자열로, IN 또는 OUT입니다. IN은 입차를, OUT은 출차를 의미합니다.
- records의 원소들은 시각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주어집니다.
- records는 하루 동안의 입/출차된 기록만 담고 있으며, 입차된 차량이 다음날 출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같은 시각에, 같은 차량번호의 내역이 2번 이상 나타내지 않습니다.
- 마지막 시각(23:59)에 입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아래의 예를 포함하여, 잘못된 입력은 주어지지 않습니다.
- 주차장에 없는 차량이 출차되는 경우
- 주차장에 이미 있는 차량(차량번호가 같은 차량)이 다시 입차되는 경우
입출력 예
fees | records | result |
[180, 5000, 10, 600] | ["05:34 5961 IN", "06:00 0000 IN", "06:34 0000 OUT", "07:59 5961 OUT", "07:59 0148 IN", "18:59 0000 IN", "19:09 0148 OUT", "22:59 5961 IN", "23:00 5961 OUT"] | [14600, 34400, 5000] |
[120, 0, 60, 591] | ["16:00 3961 IN","16:00 0202 IN","18:00 3961 OUT","18:00 0202 OUT","23:58 3961 IN"] | [0, 591] |
[1, 461, 1, 10] | ["00:00 1234 IN"] | [14841]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 요금표
기본 시간(분) | 기본 요금(원) | 단위 시간(분) | 단위 요금(원) |
120 | 0 | 60 | 591 |
-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 | 차량 번호 | 내역 |
16:00 | 3961 | 입차 |
16:00 | 0202 | 입차 |
18:00 | 3961 | 출차 |
18:00 | 0202 | 출차 |
23:58 | 3961 | 입차 |
-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 | 누적 주차 시간(분) | 주차 요금(원) |
0202 | 120 | 0 |
3961 | 120 + 1 = 121 | 0 +⌈(121 - 120) / 60⌉x 591 = 591 |
- 3961번 차량은 2번째 입차된 후에는 출차된 내역이 없으므로, 23:59에 출차되었다고 간주합니다.
입출력 예 #3
- 요금표
기본 시간(분) | 기본 요금(원) | 단위 시간(분) | 단위 요금(원) |
1 | 461 | 1 | 10 |
-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 | 차량 번호 | 내역 |
00:00 | 1234 | 입차 |
-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 | 누적 주차 시간(분) | 주차 요금(원) |
1234 | 1439 | 461 +⌈(1439 - 1) / 1⌉x 10 = 14841 |
- 1234번 차량은 출차 내역이 없으므로, 23:59에 출차되었다고 간주합니다.
나의 풀이
Collections 모듈을 통해 기본값을 지정해줄 수 있는 딕셔너리를 생성했습니다. split()함수를 이용해 records을 나누어 저장합니다. 시간을 분 단위로 변환하여 minutes에 저장한 후 딕셔너리 table 에 저장합니다. table을 반복하는 for문을 이용해 table[i]의 길이가 홀수이면 table의 마지막에 23:59분을 분으로 변환한 값을 저장합니다. table을 키값을 기준으로 정렬한 후 출차 시간의 총합 - 입차 시간 총합을 구하여 기본 시간보다 초과하면 요금을 계산하여 answer에 저장하고, 초과하지 않으면 기본 요금을 저장하여 리턴합니다.
코드
import math
from collections import defaultdict
def solution(fees, records):
answer = []
table = defaultdict(list)
for i in range(len(records)):
time,number,state = records[i].split()
minutes = int(time[:2]) * 60 + int(time[3:])
table[number].append(minutes)
for i in table :
if ( len(table[i] ) % 2 == 1 ) :
table[i].append(23*60+59)
cars = sorted(table.keys())
for c in cars :
money = 0
time = sum(table[c][1::2]) - sum(table[c][::2])
if time > fees[0] :
money += fees[1] + math.ceil((time - fees[0]) / fees[2]) * fees[3]
else :
money += fees[1]
answer.append(money)
return answer
'프로그래머스 > Lv.2'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Python] 할인 행사 (0) | 2023.02.24 |
---|---|
[프로그래머스/Python] 오픈채팅방 (0) | 2023.02.22 |
[프로그래머스/Python] [3차] n진수 게임 (0) | 2023.02.19 |
[프로그래머스/Python] 주식가격 (0) | 2023.02.17 |
[프로그래머스/Python] [3차] 압축 (0) | 2023.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