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aekjoon
- Unix_System
- tensorflow
- 리눅스마스터2급
- Operating_System
- 2023_1st_Semester
- Kubernetes
- Android
- Personal_Study
- codingTest
- Algorithm
- kubeflow
- c++
- datastructure
- Artificial_Intelligence
- C
- Java
- study
- 티스토리챌린지
- Univ._Study
- app
- Linux
- Python
- 오블완
- Database_Design
- 자격증
- Image_classification
- programmers
- cloud_computing
- SingleProject
목록전체 글 (372)
코딩 기록 저장소

1. CPU 스케줄링 개요 운영체제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스케줄링 ■ 스케줄링은 왜 필요할까? - 자원에 대한 경쟁이 있는 곳에서 경쟁자 중 하나 선택 - 자원 : CPU, 디스크, 프린트, 파일, 데이터베이스 등 IO, CPU - 컴퓨터 시스템 여러 곳에서 발생 ■ 컴퓨터 시스템 내 다양한 스케줄링 작업(job) 스케줄링 배치시스템에서 대기중인 배치 작업(Job) 중 메모리에 적재할 작업 결정 CPU 스케줄링 - 프로세스 스케줄링 프로세스/스레드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CPU 할당 오늘날 CPU 스케줄링은 커널 수준의 스레드 스케줄링 디스크 스케줄링 디스크 장치 내에서 디스크 입출력 요청 중 하나 선택 프린터 스케줄링 프린팅 작업 중 하나 선택하여 프린터 할당 다중프로그래밍과 스케줄링 ■ 다중프로그래밍의 ..

1. 파일 내용 보기 : cat / more / tail cat cat [ 옵션 ] nl 파일명 - 간단한 파일보기 명령으로 짧은 파일에 적합 ■ 옵션 -n : 행 번호 출력 nl : 행번호 포함한 파일 내용 ■ 사용법 more more [ 옵션 ] 파일명 - 파일의 내용을 한 화면씩 출력 ■ 옵션 + 행 번호 : 지정한 행부터 출력 ■ 명령 다음 페이지 : space 이전 페이지 : b 종료 : q 문자열 찾기 : /문자열 ■ 사용법 tail tail [ 옵션 ] 파일명 - 파일의 마지막 부분 출력 ■ 옵션 + 행 번호 : 지정한 행부터 끝까지 출력 - 숫자 : 화면에 출력할 행 수 - f : 파일 출력이 종료되지 않고 주기적으로 반복 출력 ■ 사용법 2. 파일 복사 : cp cp [ 옵션 ] 원본 파..

1. 유닉스 파일 시스템 ■ 파일 - 관련 있는 정보들의 집합 - 유닉스는 시스템의 모든 정보와 장치를 파일로 관리 ■ 파일 시스템 - 시스템 내의 파일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계층적으로 구성한 유닉스 시스템의 파일과 디렉토리의 집합 파일의 종류 - 일반 파일, 디렉토리 파일, 심볼릭 링크 파일, 장치 파일 ■ 일반 파일 - 데이터의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파일 ● 텍스트 파일 - 파일의 내용이 아스키(ASCII)코드로 구성된 파일 - 텍스트 편집기나 cat, more 명령을 이용해 그 내용을 볼 수 있음 ● 바이너리 파일 - 내용이 아스키 코드가 아닌 모든 파일 - 지정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야 내용을 볼 수 있음 ■ 디렉토리 파일 - 내용이 다른 파일이나 하위 디렉토리의 이름인 특수 파일 - s..

1. 유닉스 개요 유닉스 개요 ■ 유닉스란? - 고급언어로 개발된 최초의 운영체제 ■ 유닉스의 역사 - 1969. AT&T 벨 연구소에서 개발 - 개발자 : 켄 톰슨, 데니스 리치 - 1973. 어셈블리 언어에서 C 언어로 변경 - 초기에 대학과 기업 중심으로 연구 - BSD :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 상업용 버전 은 AT&T 개발 - System III(최초 상업용), System V 유닉스 발전 과정 유닉스의 종류 구분 제품명 개발 회사 유닉스 오라클 솔라리스 Oracle(오라클) AIX IBM HP-UX HP(휴렛 패커드) 리눅스 페도라(Fedora) RedHat(레드햇) 우분투(Ubuntu) Canonical Ltd(캐노니컬) - 현재 UNIX는 "The Ope..

1. 프로세스의 문제점 프로세스의 문제점 ■ 다중 프로세스를 이용한 멀티태스킹 - 응용프로그램에서 여러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동시에 여러 작업 실행 - 운영체제는 스케줄링을 통해 여러 프로세스(작업)를 번갈아 실행 ■ 프로세스를 실행 단위로 하는 멀티태스킹의 문제점 1. 프로세스 생성의 큰 오버헤드 - 프로세스를 위한 메모리 할당, 부모프로세스로부터 복사 - PCB 생성, 매핑 테이블 (페이지 테이블) 생성 등 2. 프로세스 컨텍스트 스위칭의 큰 오버헤드 - CPU 레지스터들을 컨텍스트로 PCB에 저장, 새 프로세스 컨텍스트를 PCB에서 CPU로 옮기는 시간 - CPU가 참고할 매핑 테이블 (페이지 테이블) 교체 시간 - CPU 캐시에 새 프로세스의 코드와 데이터가 채워지는데 걸리는 시간 등 3. 프로세스..

1. 프로세스 개요 프로세스 개요 ■ 프로그램 (Program) -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 매체에 저장. 실행 파일의 형태 ■ 프로세스 (Process) -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 중인 상태 - 필요한 모든 자원 할당 받음 - 자원 : 코드 공간, 데이터 공간, 스택 공간, 힙 공간 - 메모리 ● 프로세스의 특징 - 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고 프로세스로 다룸 - 운영체제는 프로세스에게 실행에 필요한 메모리 할당, 이곳에 코드와 데이터 등 적재 - 프로세스들은 서로 독립적인 메모리 공간을 가짐. 다른 프로세스의 영역에 접근 불허 - 운영체제는 각 프로세스의 메모리 위치와 크기 정보를 관리함. - 운영체제는 프로세스마다 고유한 번호 (프로세스 ID) 할당 - 프로세스의 관한 모든 정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