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스토리챌린지
- Kubernetes
- 자격증
- codingTest
- Unix_System
- Baekjoon
- SingleProject
- study
- Univ._Study
- Artificial_Intelligence
- Algorithm
- tensorflow
- Android
- Personal_Study
- datastructure
- Linux
- Operating_System
- c++
- 2023_1st_Semester
- Image_classification
- kubeflow
- C
- Database_Design
- app
- 오블완
- programmers
- 리눅스마스터2급
- cloud_computing
- Python
- Java
목록study (64)
코딩 기록 저장소

오늘은 Intent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Intent는 컴포넌트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메시지 기능을 합니다. 다른 액티비티로 이동하거나 데이터를 넘겨주고 싶은 경우가 있을 때 사용합니다. 이것을 공부하여 앱의 화면 이동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서브 액티비티 생성하기 패키지 쪽에서 우클릭 한 후, 아래 사진을 따라 다른 액티비티를 생성해줍니다. 생성하게 되면 이런식으로 액티비티가 더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인액티비티의 화면을 설정해보겠습니다. 저번시간에 했던것과 같이 Layout을 'LinearLayout'으로 변경한 후, 화면 이동 기능을 넣을 버튼을 생성해줍니다. Intent 사용하기 화면에 버튼이 뜬 것을 확인했으면 이제 java파일로 가서 기능을 추가해봅시다. 저..

오늘은 'EditText'와 'Button'기능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새로운 프로젝트 파일을 만들어서 진행하겠습니다. 저번에 만들었던 것 처럼 'Empty Activity'를 선택한 후 생성하고 xml문서 코드의 layout부분을 'LinearLayout'으로 바꾸어줍니다. 기능에 대해 알아보기 - EditText 'EditText'는 TextView로부터 파생된 클래스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고 수정도 가능한 위젯입니다. 'EditText'를 화면에 배치하는 방법은 사이에 속성을 정의하면 됩니다. 'EditText' 속성 정의 예시 'EditText' 속성 정의 결과 hint 'hint'는 'EditText' 배경 속성값으로 지정한 문자열을 나타나게 합니다. Text의 영역에 어떤 내용을 입력..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실행하기 캡스톤디자인 활동으로 모바일 앱을 제작하게 되어 앱과 관련된 공부를 해보려고 합니다. 안드로이드 앱을 개발하기 위해 먼저 통합 개발 환경인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다운로드 받고 설정을 마쳤습니다. 회의를 통해 Java로 개발할 예정이라 다시 정리하여 재업로드 합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다운로드 링크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 Download Android Studio & App Tools - Android Developers Android Studio provides app builders with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IDE) optimized for Android apps. Downlo..

1. 상태 공간 트리 - 문제 해결 과정의 중간 상태를 각각 한 노드로 나타낸 트리. - TSP를 예로 들어 상태 공간 트리를 설명함. TSP - 그래프에서 모든 정점을 순회하고 돌아오는 사이클을 해밀토니안 사이클이라 함. - 완전 그래프에서 해밀토니안 사이클은 수없이 많은데 TSP는 그중 짧은 것을 찾는 문제. - TSP의 형태는 다양하지만 이차원 평면상에 n개의 정점이 있고, 이 정점들로 구성된 가장 짧은 해밀토니안 사이클을 찾는 문제가 가장 단순한 형태의 TSP 문제. - 첫 번째 그림은 TSP 예로 평면에 6개의 정점이 존재함. 두 번째와 세 번째 그림은 해밀토니안 사이클의 예. 이 중 오른쪽의 그림은 모든 가능한 해밀토니안 사이클 중 가장 짧은 해밀토니안 사이클, 즉 최적해. - TSP는 임의의..

1. 문제의 종류 - 세상에 다양한 종류의 문제가 존재하고, 이 문제들은 해결 가능성에 따라 풀 수 있는 문제와 풀 수 없는 문제로 나눌 수 있음. - 컴퓨터 과학의 정지 문제나 힐버트의 열 번째 문제는 우리의 논리 체계하에서 풀 수 없는 대표적인 문제. - 풀 수 있는 문제는 해결하는 데 필요한 시간에 따라 현실적인 시간에 풀 수 있는 문제와 그렇지 않은 문제로 나뉨. - 현실적인 시간에 풀 수 없는 문제는 주어진 시간 범위에서 근사해를 구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밖에 없음. - NP-완비는 현실적인 시간에 풀 수 없다 추정되면서 서로 강력한 논리적 연관성을 가진 특이한 문제군에 관한 것. - 보통 다항식 시간은 현실적인 시간이라 간주하고, 지수 시간은 비현실적인 시간이라 간주함. 2. Yes / No..